본문 바로가기
통계/통계적으로 사고하기

통계적으로 사고하기 :: 통계적 필요, 통계적 태도, 통계적 용어

by blackJ 2021. 4. 24.

1. 통계적 필요

 

- 통계법에 정의되어 있는 통계

통계작성기관이 정부정책의 수립, 평가 또는 경제, 사회현상의 연구, 분석 등에 활용할 목적으로 산업, 물가, 인구, 주택, 문화, 환경 등 특정 집단이나 대상 등에 관하여 직접 또는 다른 기관이나 법인, 단체 등에 위임 위탁하여 작성하는 수량적 정보(통계법 제3조 제1호)로서 주로 숫자를 의미하는 것

 

- 통계를 필요로 하는 분야

행정 및 정책 결정 분야, 기상 분야, 고객 분석, 선거 여론조사, 북한 통계 등

 

2. 통계적 태도

통계는 아무리 많은 자료가 있다고 해도 결과 값이 같거나 한 가지 종류이면 표나 그래프로 나타내기 위한 매력이 떨어진다. 따라서 통계다름이나 다양성, 불확실성의 현상이 내재된 집단이나 대상에 관한 수량적 정보이다.

 

- 통계가 요구되는 현상의 특징 :다름, 다양성, 불확실성

 

- 통계의 정의 :다름이나 다양성 불확실성의 현상이 내재된 집단이나 대상에 관한 수량적 정보

 

- 통계와 친숙해지는 방법 : 긍정적 태도, 더 알고 싶은 태도

 

- 통계에서는 다름, 다양성, 불확실성을 상세하게 표현하는 방법 필요

 

3. 통계적 용어

 

모집단 : 관심대상이 되는 다양성이나 불확실성이 내재된 집단에 속한 모든 개체의 집합

           → 관측대상이 되는 개체를 원소로 보는가?

           집단에 속한 개체의 집합으로 정의하지 않고 연구대상이 되는 가능한 관측값이나 측정값의 집합

           → 개체로부터 측정된 값을 원소로 보는가?

 

변수 : 신장, 체중, 형제의 수, 혈액형, 통일에 대한 찬성 여부 등 이들 개체의 속성, 특징, 반응 등

  - 연속형 변수 : 신장, 체중과 같이 실수로 값을 가질 수 있는 변수

  - 이산형 변수 : 각 개체로부터 형제의 수를 조사한 경우 정수의 값을 갖는 변수인 ' 형제의 수'

  - 질적 변수 : 20대들에게 혈액형이나 남북통일에 대한 찬성여부를 물었을 경우 찬성 또는 반대의 값

 

모수 :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집단이 모집단의 특성, 관심을 가지고 있는 변수에 대해 알고 싶은 변수에 대해 알고 싶은 구체적인 관심사항

 

표본 :  일부

 

전수조사 : 모집단 전체를 조사하는 것

           시간이나 비용 등 현실적인 어려움때문에 주로 국가기관에서 표본추출틀 생성과 같은 특별한 목적을 갖고 실시

 

표본추출틀 : 대표성 있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하여 현실적으로 조사 가능한 모집단의 개체들을 정리해 놓은 대장

 

통계량 : 표본으로 추출되는 개체들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는 표본 평균

 

통계치 :  하나의 표본을 추출하여 표본 평균을 구하고 이 값으로부터 모수에 대한 정보를 얻어 보려고 하는데 이 때 얻어지는 구체적인 평균값


예제 : 우리나라 20대들의 키가 많이 컸나?

 

모집단 : 우리나라 20대들의 신장의 집합 / 다양성을 포함한 우리나라 20대들 집단 

개체 : 키에 관심있는 우리나라 20대 한 사람 한 사람

 

하지만 우리나라 20대의 전체 키를 알기 어렵다. 따라서 모집단의 일부인 표본을 추출하여 모수에 대응하는 평균 신장을 산출.

 

표본에서 얻게 되는 평균키는 표본의 평균키라 부름.

 

표본의 평균키 :  어떤 개체가 표본으로 추출되는지에 따라서 달라지는 값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전체 집단의 개체들의 평균 신장인 모수와 같이 고정된 값이 아님.

 

따라서 표본평균 값은 모수에 가까울 수 있거나 많이 떨어져 있을 수도 있음.

 

 

 

 

공부 출처 :  통계청 통계교육원 sti.kostat.go.kr/